업계동향 총 30건 / 3페이지 제목+내용 제목 내용 검색 [업계 동향] 쿠팡, 물류에 3조 이상 신규 투자… 2027년 '전국민 무료 로켓배송' 시대 연다 2024-03-27 503 출처 : https://www.etnews.com/20240327000128 쿠팡이 3조원 이상을 투자해 2027년까지 로켓배송 지역을 전국으로 확대한다. 압도적인 물류 인프라를 구축해 최근 공세를 강화하고 있는 알리익스프레스 등 차이나커머스가 따라올 수 없는 '물류 초격차'를 만든다. 특히 전국을 '쿠세권(쿠팡 로켓배송 가능 지역)'으로 만들어 지방 고객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지방 인구 소멸' 대응에도 기여한다는 전략이다. 쿠팡은 올해부터 2026년까지 신규 풀필먼트센터(통합물류센터) 확장과 첨단 자동화 기술 도입, 배송 네트워크 고도화 등에 3조원을 투자한다고 27일 밝혔다. 이는 최근 중국 알리익스프레스의 모기업인 알리바바그룹이 한국에 3년간 투자한다는 1조5000억원의 두 배 규모다. 쿠팡은 경상북도 김천과 충청북도 제천, 부산, 경기도 이천, 충청남도 천안, 대전, 광주, 울산 등 8곳 이상 지역에 신규 풀필먼트센터 운영을 위한 신규 착공과 설비투자를 추진한다. 광주와 대전은 올해 풀필먼트센터 운영을 시작하고, 부산과 이천은 올해 2분기, 김천은 3분기, 제천은 4분기에 각각 착공할 계획이다. 신규 풀필먼트센터에는 수 백에서 수 천명씩 고용이 이뤄질 전망이다. 쿠팡은 그동안 6조2000억원을 물류망 구축에 투입, 전국 30개 지역에 100여곳의 물류인프라를 갖추고 쿠세권을 전국 260개 시·군·구 가운데 182개(70%)까지 늘렸다. 이번 투자 계획에 따라 쿠세권이 확대되면 2027년부터는 약 230여개(88% 이상) 시군구에서 로켓배송이 가능할 전망이다. 인구 수로 보면, 전 국민 5130만명 가운데 5000만명 이상 규모로 추산된다. 쿠팡은 이번 투자 확대를 통해 로켓배송 지역을 순차적으로 늘려 2027년까지 한반도 최남단 남해군을 포함해 전국에서 주문 하루만에 식료품과 생필품을 무료배송 받을 수 있는 시대를 열겠다고 밝혔다. [후략] [벤더 동향] “성능·확장성 강점으로 소프트웨어 정의 인프라 주도” 2024-03-27 416 출처 : https://www.datanet.co.kr/news/articleView.html?idxno=192051 온프레미스 및 프라이빗 클라우드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면서 운영을 간소화하고, 업무 효율은 극대화할 수 있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인프라 구축을 위해 HCI 솔루션 수요가 늘고 있다. 이에 델 테크놀로지스는 HCI를 포괄하는 소프트웨어 정의 인프라 솔루션으로 자리매김한 ‘파워플렉스(PowerFlex)’를 앞세워 온프레미스 및 프라이빗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델 파워플렉스는 급변하는 비즈니스 요구 사항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민첩하고 유연한 아키텍처와 대규모 확장을 지원하는 안정적인 성능을 강점으로, 멀티 클라우드 시대에 적합한 데이터센터 운영 현대화와 통합 효율화는 물론 총소유비용(TCO)까지 절감하는 해결사로 주목된다. · 컴퓨팅·스토리지 분리한 투 레이어 구성으로 HCI 한계 극복 · 소프트웨어로 성능·기능 차별화 · 금융권 검증 거치며 고객 확대 가속 · 국내 신규 고객 확보 박차 [후략] [업계 동향] "SK하이닉스, 美인디애나주에 5조3천억원 투자 칩 패키징 공장"(종합) 2024-03-27 446 출처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590731?rc=N&ntype=RANKING SK하이닉스가 미국 인디애나주 서부 웨스트 라피엣에 첨단 반도체 패키징 공장을 건설한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소식통을 인용해 2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소식통은 SK하이닉스가 이 공장 건설을 위해 40억 달러(약 5조3천억원)를 투자하게 되며 2028년 가동을 개시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SK하이닉스 이사회는 조만간 이 결정을 승인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 공장 건설로 800∼1천개의 일자리가 창출되며, 연방과 주 정부의 세금 인센티브 등 지원이 프로젝트 자금 조달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소식통은 설명했다. 공장이 들어서는 인디애나주 웨스트 라피엣에는 미국 최대 반도체 및 마이크로 전자공학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대학 중 한 곳인 퍼듀대학이 있다. SK하이닉스는 대만 반도체 기업 TSMC와 인텔 공장이 들어서는 등 반도체 산업이 급성장하고 있는 애리조나주도 고려했으나, 퍼듀대를 통해 엔지니어 풀을 확보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감안해 인디애나주를 최종 선택했다고 소식통은 말했다. [후략] [벤더 동향] 델 테크놀로지스, 파워스케일 스토리지로 AI 데이터 플랫폼 시장 공략 2024-03-25 413 출처 : https://www.datanet.co.kr/news/articleView.html?idxno=191921 ‘델 파워스케일’, 엔비디아 DGX 슈퍼POD용 이더넷 스토리지 인증 획득 손쉽게 분석, 관리하는 개방형 모던 데이터 플랫폼 ‘델 데이터 레이크하우스' 델 테크놀로지스는 엔비디아와 스타버스트 등 글로벌 기업들과 협력해 스토리지 포트폴리오를 강화한다고 22일 밝혔다. 델은 엔비디아와의 긴밀한 협력 하에 자사의 ‘델 파워스케일(PowerScale)’ 스토리지가 업계 최초로 ‘엔비디아 DGX 슈퍼POD(SuperPOD)’을 위한 이더넷 스토리지로서 인증됐음을 알렸다. 또 데이터 애널리틱스 플랫폼 기업인 ‘스타버스트’와 협력해 스타버스트 소프트웨어와 델 하드웨어가 풀스택으로 구성된 ‘델 데이터 레이크하우스(Dell Data Lakehouse)’를 공식 출시했다. 델 파워스케일 솔루션은 업계 최초로 엔비디아의 DGX 슈퍼POD용 이더넷 기반 스토리지로 인증됐다. 델과 엔비디아는 가속 컴퓨팅과 스토리지 인프라 기술을 결합함으로써 강력한 성능과 효율성의 AI 스토리지를 찾는 조직들의 생성형 AI 이니셔티브 지원에 나선다. [후략] [벤더 동향] 네이버클라우드, 하이퍼클로바X 기반 법률 질의 서비스 출시 2024-03-21 396 출처 : https://biz.newdaily.co.kr/site/data/html/2024/03/20/2024032000224.html 네이버클라우드는 AI 법률 Q&A 서비스 ‘AI 대륙아주’ 서비스를 오픈했다고 20일 밝혔다. AI 대륙아주는 법무법인 ‘대륙아주’가 축적한 법률 데이터를 리걸테크 벤처기업인 ‘넥서스AI’가 네이버의 ‘하이퍼클로바X’를 활용해 개발한 서비스로, 대륙아주를 통해 서비스된다. 대형 법무법인의 검증된 다양한 법률 사례 데이터를 학습해 답변의 완성도와 정확도를 높인 것이 특징이다. -중략-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는 “생성형AI의 확산과 함께 최근 ‘하이퍼클로바X’를 도입하려는 서비스, 파트너들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AI가 다양한 분야에 적용돼 서비스 혁신의 기반이 될 수 있도록 기술 고도화에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벤더 동향] 스플렁크 품은 시스코 "세계 최대 소프트기업 중 하나" 2024-03-19 396 출처 : https://www.econovill.com/news/articleView.html?idxno=649294 생성형 AI 시대에도 강력한 소프트웨어 파워를 자랑하는 시스코가 세계 최대 소프트웨어 기업 중 하나로 등극했다. 스플렁크(Splunk)의 인수 절차를 마쳤다고 18일 발표했다. 이번 인수로 기업이 인터넷을 사용하며 남기는 모든 디지털 발자국(Digital Footprint)을 통한 강력한 인사이트를 제공한다는 설명이다. (중략) 시스코는 "시장을 선도하는 보안 및 가시성 솔루션으로 기업의 디지털 환경 전체에 대한 실시간 통합 가시성을 제공함으로써 기업 인프라 내 네트워크의 역량을 끌어올릴 계획"이라며 "이를 통해 기업들이 중요 인프라를 선제적으로 방어하고 네트워크 중단을 방지하며 네트워크 경험을 개선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기업이 AI의 기술 도약을 활용하고 성과를 거두려면 알맞은 데이터를 대규모로, 또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 이유로 △AI를 가동할 인프라와 △AI를 개발할 데이터, △이를 보호할 보안 플랫폼, 그리고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가시성 플랫폼이 필요하다. 시스코와 스플렁크의 결합에 시선이 집중되는 이유다. 고객들에게 보안, 가시성, 네트워킹, AI, 경제적 측면에서 이점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우선 보안 측면에서는 클라우드, 네트워크, 엔드포인트 트래픽을 활용한 뛰어난 가시성으로 모든 규모의 조직에 적합한 위협 방지, 탐지, 조사 및 대응을 위한 고도화된 포괄적 보안 솔루션을 제공할 전망이다. 나아가 가시성도 개선된다. 통합 풀 스택 가시성(FSO) 솔루션을 통해 멀티 클라우드 하이브리드 환경 전반에서 디지털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네트워킹 측면에서는 인텔리전트 네트워크 인프라에서 보안 네트워킹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AI 측면에서는 시스코의 네트워킹 포트폴리오를 통해 고객이 AI를 보안 걱정 없이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시스코와 스플렁크의 플랫폼 접근성은 고객이 수많은 포인트 제품들을 통합해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더 나은 비즈니스 성과 창출과 비용 절감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시스코의 스플렁크 인수는 고객과 파트너사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보인다. 양 사는 애플리케이션 및 솔루션 패키지에 더 높은 수준의 보안과 가시성, 데이터 플랫폼 역량을 결합해 글로벌 개발자와 파트너에게 더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게 된다. 또, 양 사의 파트너 생태계를 결합함으로써 고부가가치 서비스와 혁신적인 신규 애플리케이션 및 AI 기반 솔루션 제공이 가능해져 고객사의 신규 수익원 창출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후략) [업계 동향] SK하이닉스, 1.3조 통큰 베팅…HBM 선두 굳히기 2024-03-15 429 출처 : https://biz.sbs.co.kr/article/20000160355?division=NAVER SK하이닉스, 1.3조 통큰 베팅…HBM 선두 굳히기 SK하이닉스가 1조 3천억 원에 달하는 통 큰 베팅에 나서며 HBM 선두 굳히기에 들어갑니다. 블룸버그 통신은 현지시간 7일 이강욱 SK하이닉스 부사장의 말은 인용해 SK하이닉스가 AI 개발에 핵심인 고대역폭 메모리(HBM) 수요를 감당하기 위해 올해에만 첨단 반도체 패키징 공정에 10억 달러(약 1조 3천억 원) 이상을 투자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이강욱 부사장은 삼성전자 엔지니어 출신으로 현재 SK하이닉스에서 패키징 개발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SK하이닉스는 올해 지출 예산을 공개하지 않았지만, 업계 추정치는 14조 원(105억 달러) 정도입니다. 회사 전체 지출의 약 10분의 1을 패키징 공정 개선에 투자하는 것으로 기업 최우선 순위가 어디를 향하고 있는지 보여줍니다. HBM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패키징 기술 혁신으로 시장 선두를 지키겠다는 전략입니다. [벤더 동향] 넷앱, AI 내장 스토리지 및 사이버 복원력 솔루션으로 랜섬웨어 실시간 대응 2024-03-15 387 출처 : https://www.d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8808 넷앱이 데이터 보호 및 복구 기능을 강화한 사이버 복원력 솔루션을 발표했다. 넷앱은 기업이 복잡한 하이브리드 및 멀티클라우드 환경에서 사전에 사이버 보안 위협을 AI와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해 위협을 식별 및 탐지하며 데이터 보호뿐만 아니라 신속한 복원을 통해 운영 중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넷앱은 AI와 머신러닝(ML)을 엔터프라이즈 스토리지에 직접적으로 통합해 실시간으로 랜섬웨어에 대응한다. 넷앱의 사이버 복원력 솔루션은 온프레미스 또는 클라우드에 관계없이 주요 스토리지와 보조 스토리지의 데이터를 보호한다. 넷앱은 최근 △온탭 ARP/AI △넷앱 블루XP 랜섬웨어 보호 △넷앱 스냅센터 5.0 △넷앱 블루XP 장애 복구 △넷앱 키스톤 랜섬웨어 복구 보증 등을 발표했다. ▪온탭 ARP/AI(ONTAP Anti Ransomware Protection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정교한 새로운 사이버 위협을 탐지하고 완화하는 데 필요한 위협 탐지와 데이터 보호 기능을 제공한다. 넷앱은 3년 전 주요 엔터프라이즈 스토리지에 AI와 머신러닝 기술을 탑재한 안티 랜섬웨어 기능을 도입했다. 넷앱은 엔터프라이즈 스토리지에 구축된 AI 및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해 파일 수준의 이상징후를 실시간으로 탐지하고 랜섬웨어로부터 데이터를 보호하는데 앞장서고 있다. 넷앱은 ARP/AI의 첫 번째 기술 프리뷰를 조만간 내놓을 예정이다. ▪넷앱 블루XP 랜섬웨어 보호: 넷앱은 랜섬웨어 보호를 지능적으로 조정하고 실행할 수 있는 단일 제어 플레인을 제공한다. 고객은 몇 번의 클릭만으로 중요한 워크로드 데이터를 식별하고 보호할 수 있으며 잠재적인 공격을 자동으로 정확하게 감지 및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몇 분 내에 워크로드를 복구해 귀중한 데이터를 보호하면서 비용이 많이 드는 다운 타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넷앱 스냅센터 5.0을 통한 애플리케이션-인식 랜섬웨어 보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랜섬웨어 보호 기능을 제공한다. 넷앱의 스냅센터(SnapCenter)는 일관성을 요구하는 애플리케이션 백업에 넷앱의 데이터 보호 기술을 적용한다. 스냅센터 5.0는 변조 방지 스냅샷(Tamper-proof Snapshot), WORM 기능인 스냅락(SnapLock), 스냅미러 비즈니스 지속성(SnapMirror Business Continuity) 등을 지원해 애플리케이션과 가상머신을 보호한다. 또한 넷앱 AFF, ASA, FAS를 통해 온프레미스뿐 아니라 멀티 클라우드에서도 애플리케이션 보호를 지원한다. ▪넷앱 블루XP 장애 복구: 현재 정식 출시된 제품으로 넷앱 온탭 기반의 VM웨어 인프라와 원활한 통합을 제공하고 온프레미스 및 주요 퍼블릭 클라우드 환경 모두에 대한 스토리지 옵션을 제공한다. 이러한 서비스를 통해 별도의 대기 재해복구(DR) 인프라가 필요하지 않아 DR 환경을 구축하고 운영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장애 조치 및 장애 복구 프로세스를 단순화할 수 있으며 온프레미스 VM웨어 인프라에서 퍼블릭 클라우드 또는 온프레미스 데이터 센터로 원활하게 전환할 수 있다. ▪넷앱 키스톤 랜섬웨어 복구 보증: 넷앱의 현재 랜섬웨어 복구 보증 서비스를 넷앱의 SaaS 제품인 넷앱 키스톤(Keystone)으로 확장한다. 이러한 보장으로 넷앱은 랜섬웨어 공격이 발생할 경우 스냅샷 데이터 복구를 보장하고, 넷앱을 통해 스냅샷 데이터 복사본을 복구할 수 없는 경우, 보상을 제공한다. [업계 동향] 오라클 "AI 인프라 수요, 공급 압도"…장외 주가 13% 급등 2024-03-15 494 출처 :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4031207464858529 데이터베이스 및 클라우드 회사인 오라클이 11일(현지시간) 별로 인상적이지 않은 분기 실적과 향후 실적 가이던스를 발표했음에도 AI(인공지능) 수요 강세를 언급함에 따라 시간외거래에서 주가가 13% 급등하고 있다. 오라클은 이날 장 마감 후 회계연도 3분기(지난해 12월~올 2월)에 24억달러, 주당 85센트의 순이익을 올렸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 19억달러, 주당 78센트의 순이익에 비해 늘어난 것이다. 일회성 비용 등을 제외한 조정 주당순이익(EPS)은 1.41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팩트셋이 조사한 애널리스트들의 전망치 1.38달러를 웃도는 것이다. 회계연도 3분기 매출액은 132억8000만달러로 전년 동기 124억달러에 비해 7% 증가했다. 하지만 이는 애널리스트들의 전망치 133억달러에는 소폭 미달하는 것이다. 회계연도 4분기(올 3~5월)에 대해선 1.62~1.66달러의 EPS를 가이던스로 제시했다. 이는 중앙값이 LSEG가 집계한 애널리스트들의 전망치 1.64달러와 일치하는 것이다. 오라클은 회계연도 4분기 매출액에 대해선 전년 동기 대비 4~6%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오라클의 매출액 가이던스 중앙값은 145억달러로 애널리스트들의 전망치 147억달러에 미달했다. 하지만 오라클에서 가장 큰 사업 부문인 클라우드 서비스 및 라이선스 지원 부문의 매출액이 회계연도 3분기에 99억600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2% 증가한 것은 긍정적이었다. 오라클은 이에 대해 AI 서버에 대한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벤더 동향] 2024 CISCO CXperience 행사 2024-03-15 376 2024년 3월 15일, 시스코에서는 아주 특별한 행사가 진행되었는데요, 바로 Cisco CX팀에서 최초로 개최한 CXperience 2024 행사입니다! 본 행사에서는 최신 CX 트렌드 기반의 시스코 서비스 포트폴리오 소개와 함께 고객들의 성공사례, 그리고 솔루션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데모 부스까지 마련되었고, 이른 아침부터 200여명에 가까운 고객분들과 파트너분들이 그 자리를 빛내주셨습니다. 사진을 통해 생생한 현장을 엿보시고, 링크를 통해 Cisco CX 서비스도 확인해 보세요! ✅ 한눈에 보기: http://cs.co/6048kRD5i ✅ Cisco CX 서비스 자세히 보기: http://cs.co/6049kRD5c << < 1 2 3